시작하기
TrueNAS의 관리자 WebUI는 여러가지 언어로 번역되어 다양한 지역의 언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설정에서 여타 언어들 (fr, es 등)과 다르게 Korean(ko)로 선택을 하고 적용을 하더라도 여전히 영어로만 출력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나오는 이유는, TrueNAS의 WebUI의 한국어가 번역되어 있는 파일이 실제로 한국어 번역 텍스트로 되어 있지 않고 원본 그대로 영어로 값이 채워져 있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이 한국어 번역이 들어 있어야 할 파일에 번역이 안된 내용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설정에서 한국어를 설정해도 번역이 되지 않은 영문이 계속 노출 되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이 한국어 번역파일의 내용이 올바르게 한국어로 변역 된 파일로 교체하여 적용하면 올바르게 한국어 번역이 적용 될 수 있게 됩니다.
번역파일 구하기
한국어 번역파일이 존재하는 위치는,
/usr/local/www/webui/assets/i18n
ssh로 TrueNAS서버에 접속하신 후, 위의 경로로 이동하시면 전세계 모든 언어의 번역파일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해당 파일 중 ko.json파일이 우리가 교체해야 할 파일 입니다.
그런데 번역 된 ko.json파일은 어디서 어떻게 구할까요?
최근까지도 공식적으로 TrueNAS에서 한국어로 번역 된 파일을 아직 제공하지 않았습니다.(그러니 위의 스크린샷 처럼 같은 영어가 채워져 있는 것이죠). 하지만 다행이도 최근 TrueNAS의 공식 Github에 접속하시면 거의 대부분의 파일이 번역 되어져 있는 ko.json파일이 업로드 되어 있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바로 적용시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TrueNAS 공식 Github페이지의 ko.json파일 링크 :
https://github.com/truenas/webui/blob/master/src/assets/i18n/ko.json
이 파일을 그대로 적용하셔도 되지만, 해당 번역파일은 약 35개 항목 정도의 소수의 내용 번역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누락된 곳의 항목의 번역을 직접 추가한 완성된 ko.json파일을 생성하였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바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번역파일 적용
번역 된 ko.json파일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TrueNAS서버에 적용시켜 봅시다.

위에 안내 된 TrueNAS서버를 winSCP와 같은 SSH 파일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번역 된 ko.json파일로 덮어 씌워 줍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에 적절한 권한을 준 후, TrueNAS의 서비스를 재시작(반드시 재시작 해야 적용 됨)하면 번역 된 WebUI로 변경 됩니다.
//번역 파일의 권한 수 chmod 644 /usr/local/www/webui/assets/i18n/ko.json //TrueNAS 서비스 재시작 service middlewared restart service nginx restart

이렇게 손쉽게 TrueNAS의 관리자 WebUI를 한국어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